-
오늘은 실존인물 앨런 튜링의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된 독일 나치의 암호기 에니그마를 해독하는 과정을 그린 이미테이션 게임이라는 영화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영화 이미테이션 게임 포스터 목차
- 이미테이션 게임 줄거리
- 재미있게 볼 수 있었던 점
- 실제와 영화가 다른 점
이미테이션 게임 줄거리
비가 오는 날의 런던을 배경으로 시작합니다. 경찰들에게 밤에 강도신고가 접수되고 경찰들이 튜링의 집으로 출동합니다. 엉망이 된 집에는 바닥에 청산가리가 있었고 청산가리를 치우고 있는 앨런 튜링을 발견합니다. 튜링은 집에 강도가 들었는데도 아무렇지 않다는 듯이 집을 청소해야 하니 경찰에게 떠나 달라고 요청하고, 바닥에 쏟아진 청산가리를 일부러 보여주는 듯한 이상한 행동을 보입니다. 출동했던 형사는 이 상황이 의심스럽다고 생각했고 튜링에 대해서 조사하기 시작합니다. 조사 중에 그의 정보가 1급 군사기밀로 분류되어 있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랍니다. 점점 더 이상하다고 생각한 형사는 튜링의 기밀정보를 열람하는데 튜링의 정보가 아무것도 없습니다. 튜링은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교수였습니다. 과거에 두 명의 이중첩자가 튜링처럼 케임브리지의 대학교의 교수였다는 것을 이유로 그를 소련의 스파이로 의심합니다.
1939년, 제 2차 세계대전 당시의 영국에서는 나치 독일의 영국 공습이 시작되었고 매일 이어지는 공습으로 런던 시민들은 공포에 떨고 있습니다. 영국 정보부 SIS의 기밀 프로젝트에 참가하기 위해 인터뷰를 보러 간 앨런 튜링은 자신은 퍼즐과 게임을 좋아하고, 에니그마 해독이 내가 좋아하는 것과 별로 다르지 않다고 말하며 팀에 들어가겠다고 합니다. 그렇게 튜링은 기밀 프로젝트에 소집되어 크릭스마리네의 에니그마를 복호화하기 위한 팀으로 투입됩니다. 튜링은 어렸을 때부터 남들과 다른 사고방식, 그리고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했었습니다. 그는 프로젝트의 팀에서도 팀원과 어울리지 못하고 혼자 독자적으로 에니그마의 해독을 하기 시작합니다. 해독을 하던 중, 기계로 암호화된 메시지를 해독하기 위해서는 사람보다는 체계적이고 뛰어난 기계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에니그마 복호화에 필요한 기계를 설계합니다. 그가 설계한 기계가 필요하다고 의견을 제출하지만 팀과 사이도 좋지 않았고 제작비가 10만 파운드였기 때문에 매번 거절당합니다. 매번 거절당하던 튜링은 런던으로 향하는 MI6 요원에게 영국 총리 윈스턴 처칠에게 편지를 전달해 달라고 합니다. 편지를 확인한 윈스턴 처칠은 튜링의 의견이 좋다고 말해주었고, 그는 거절하던 팀장 휴를 대신해서 팀장이 됩니다.
튜링은 팀에서 쓸모없는 사람들 찾아내기 시작합니다. 두명의 동료를 즉시 해고했고 이 두 명의 자리를 채우기 위해 팀원을 새로 뽑기로 결정합니다. 그는 직접 마는 어려운 낱말 퍼즐을 신문에 올리고 퍼즐을 푼 사람들에게 2차 시험에 참가하라는 편지를 보냅니다. 이 시험에서 어려운 십자낱말 퍼즐을 5분 34초 만에 조안 클라크라는 인물이 풀어낸다. 정작 튜링도 모두 푸는데 8분이 걸리는 문제였지만 클라크는 더 빠르게 해냈고, 그 결과로 바로 채용됩니다. 그러나 새롭게 합류한 팀원이 있음에도 에니그마의 해독은 쉽지 않았습니다. 이미 튜링이 설계한 기계를 만드는 자금을 받았지만 상부에서 봤을 때 진전이 있는 모습은 아니었죠. 결국 상부에서 한 달 뒤에도 결과가 보이지 않는다면 기계를 부수고 팀을 해체하겠다는 명령이 내려왔다고 전달합니다. 그런데 이때, 클라크가 부모님이 걱정하신다면서 집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튜링에게 말합니다. 튜링은 왜 가야 하냐고 물었고 부모님이 결혼도 하지 않은 딸이 잘살고 있는지 걱정해서 돌아가야 한다고 했죠. 이에 튜링은 그 자리에서 남편이 있으면 안 돌아가도 되잖아. 라며 청혼을 합니다. 약혼 후에는 클라크와 함께 연구에 몰입하던 어느 날, 에니그마를 복호화하는데 결정적인 실마리를 얻습니다!
재미있게 볼 수 있었던 점
저는 과학을 아주 잘 알지는 못하지만 재미있어 하는 분야입니다. 전기, 기계, 암호 해독이라는 소재로 영화를 연출했던 점이 재미있게 볼 수 있는 포인트였던 것 같습니다. 앨런 튜링의 캐스팅이 논란도 많았지만 연기를 정말 잘 해냈기 때문에 저는 오히려 더 재밌게 볼 수 있었습니다.
실제와 다른 점
영화 이미테이션 게임은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이지만, 각색이 많이 들어간 영화입니다. 영화의 전체가 실화를 기반으로 한 영화가 아니죠. 실제로는 앨런 튜링이 아스퍼커 증후군을 앓고 있었는지 알 수 없지만 영화에서는 아스퍼거 증후군을 앓고 있는 것처럼 연출했습니다.